etc 3

[네트워크] 도메인 정보 수집하기

https://jwprogramming.tistory.com/186 DNS를 이용한 정보 습득 DNS에 관한 정보를 얻어오는 툴로는 nslookup, dig 등이 있습니다. 이번엔 가장 일반적인 nslookup을 사용해 보겠습니다. nslookup은 윈도우와 리눅스에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.(* 리눅스를 이용하지 jwprogramming.tistory.com https://nagjang.tistory.com/8 nslookup 사용법 정리 nslookup은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를 확인하는 기능을 가진 네트워크 관리 툴 중에 하나이다. nslookup은 여러 옵션 값을 제공하는데, 여기서는 간단하게 많이 사용 되는 명령어 위주로 정리해 보았다 nagjang.tistory.com

etc 2023.04.17

[네트워크] CRC(cyclic redundancy check) & Checksum

Checksum : 데이터 전송이나 저장시 에러 검출을 위해 추가되는 작은 데이터 (전송 메세지의 비트 수를 나타냄) CRC는 Checksum의 한 종류 ? 순환 중복 검사(CRC)를 체크섬이라고 말하기도 한다. -> 많은 경우 순환 중복 검사의 결과 == 체크섬 ? - CRC(Cyclic Redundancy Chcek: 순환 중복 검사) 패리티 검사의 한계를 채워주기 위해 나온 오류 검출 방식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했는지 확인하는 코드를 데이터 뒤에 확장 데이터를 덧붙여 보내는 방식 - 체크섬(Checksum) 중복 검사의 한 형태로 오류 정정을 통해 공간이나 시간 속에서 송신된 자료의 무결성을 보호하는 단순한 방법 https://junboom.tistory.com/32 오류 검출 방식(패리티 검사, C..

etc 2023.04.16

[웹] 쿠키 vs 세션

#HTTP 통신의 특징? @Connectionless :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에 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클라이언트에 응답을 하고 접속을 끊는다. @Stateless HTTP 통신은 요청을 응답하고 접속을 끊기 때문에 ->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알 수 없다. 만약 로그인을 하고 그 상태를 유지한 채로 웹 서비스를 제공하려면??? => 쿠키와 세션 !! #쿠키 : 클라이언트 로컬에 저장되는 Key-Value쌍의 작은 데이터 파일 #세션 : 브라우저가 종료되기 전까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유지하게 해주는 기술 세션의 내용은 서버에 저장 -> 계속하여 늘어날 경우 서버에 부하 발생 #차이점 @저장위치 쿠키는 클라이언트 로컬에, 세션은 로컬과 서버에 저장 @보안 쿠키 - 탈취와 변조가 가능 세션 - ID값만 가지고..

etc 2021.10.3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