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비스의 종류 서비스 타입 종류 ClusterIP : 타입을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으로 설정되는 타입, 클러스터 내부의 파드에서 서비스의 이름으로 접근 가능! -> 서비스 사용하지 않으면 ? 파드끼리도 이름으로는 서로 접근 불가함 (IP로 접근) NodePort : ClusterIP의 접근 범위 + K8s 클러스터 외부에서도 노드의 IP주소와 포트번호로 접근 가능 LoadBalancer : NodePort의 접근 범위 + K8s 클러스터 외부에서 대표 IP 주소로 접근 가능 ExternalName : K8s 클러스터 내의 파드에서 외부 IP 주소에 서비스의 이름으로 접근 가능 ClusterIP 헤드리스 모드도 가능 : 대표 IP 주소 없이 서비스 동작 -> 스테이트풀셋에서 활용 +) https://kimj..